속성정리가 대략끝낫다.
Feature Type (즉, 가장 우선순위에 있는 카테고리)는 아래와 같다
Admin
Landscape
POI
Road
Transit
Water
그리고 최소 1개 많게는 2개의 하부 카테고리가 존재한다.
파란색글씨로 설명을 덧붙였다.
위의 그림에서 POI라는 Feature Type이 존재하고, 그에 해당하는 하부 카테고리는 Attraction, Business, Goverment, Medical, Park이다. 하부 카테고리 2는 존재하지 않는다.
하지만, Road Feature Type의 하부 카테고리1은 Highway, Arterial .. 이며, Highway의 하단에 존재하는 카테고리(하부 카테고리2)는 Controlled Access가 되겠다.
구글의 속성DB는 위와 같이 구분되어있다.
각각의 속성들을 선택하여 스타일일 조절할 수 있다.
아쉬운점은 Level별로 (Scale에따라서) 색상, 크기등을 바꿀 수 없다는것이다. 구글의 Default를 따라서 모든효과는 적용된다. 그것의 효과는 특정 Level에서의 POI 노출, POI의 전체적인 크기, Label의 Font, 등이다.
견본지도는 본인의 FTP 서버가 완료되면 HTML embedding으로 하겠음
'GIS > Styled Map' 카테고리의 다른 글
다음지도 따라하기... (0) | 2014.01.02 |
---|---|
구글 스타일맵 이어서 - 바디 1 (0) | 2013.12.05 |
구글지도 스타일 변경 - 인트로 (0) | 2013.11.19 |
감성이 들어간 구글지도를 만들어 보자 - 프롤로그 (0) | 2013.10.18 |
Google Styled Map 에 대해서 알아보자 (2) (0) | 2013.10.18 |